리첼호텔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리첼호텔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리첼호텔

리첼호텔

4.5Km    2024-01-26

경상북도 안동시 관광단지로 346-69 (성곡동)

리첼호텔은 경북 안동문화 관광단지 인근에 위치한 호텔로, 유교의 고장 안동답게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실내 인테리어가 돋보이는 품위 있는 호텔이다. 2인이 머무를 수 있는 스텐더드룸부터 6인 가족이 머무를 수 있는 스위트룸까지 다양한 객실 형태를 가지고 있다. 각 객실에는 취사가 가능한 주방과 거실, 테라스가 있어 내 집처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호텔 내에는 조식을 즐길 수 있는 식당과 카페가 마련되어 있다. 호텔 주변 관광지로는 온뜨레피움, 유교랜드, 안동댐, 월영교 등이 있다.

안동 이든민박

4.7Km    2025-03-19

경상북도 안동시 노하3길 19 (노하동)
010-5599-4798

전국 유일 와인클래스 체험 한옥숙소

제비원가든

제비원가든

4.9Km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제비원로 649-2
054-855-5455

여러가지 시원한 국물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갈비탕이다.

연미사(안동)

연미사(안동)

5.1Km    2024-05-17

경상북도 안동시 제비원로 672

연미사는 경북 안동시 이천동 오도산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본사 고운사의 말사로 고구려 승려 보덕(普德)의 제자 중 한 명인 명덕이 바위에 불상을 새겨 모시고 연구사라고 한 것이 시초이다. 그 뒤 불상을 덮은 지붕이 제비와 비슷하여 연자루라 하였고, 승려가 거주하는 요사가 제비꼬리에 해당하고 법당이 제비부리에 해당한다고 해서 연미사라 불렀다. 연미사라는 이름은 원래 조선시대 영남지역에서 한양으로 오가는 길 여행객이 쉬어가는 숙소인 연비원, 속칭 제비원이라 불렀다는 데서 비롯됐다고도 한다. 연미사에 있는 보물인 이천동 석불의 잔잔한 미소는 안동의 상징적인 얼굴로 잘 알려져 있다. 속칭 제비원 미륵불이라고도 불리는 이 석불은 바로 연미사의 오랜 역사에서 홀로 남은 고마운 부처이자 우리 불교사에서도 몇 되지 않는 대표적인 미륵불이다. 또한, 이 석불은 대표적 민요인 성주풀이에도 나올 만큼 백성들이 오랜 세월 동안 뿌리내리려 한 민간신앙의 대상과도 닿아 있다. 연미사가 사찰로서는 매우 작은 규모이기는 하지만 미륵불이 담고 있는 미술적, 민족적 유산 가치는 뛰어나다.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제비원 석불)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제비원 석불)

5.1Km    2024-11-04

경상북도 안동시 이천동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은 원래 연미사가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에 위치하며, 근래에 ‘제비원’이라는 암자가 새로 들어서 일명 ‘제비원 석불‘이라고도 불린다. 자연암벽에 신체를 선으로 새기고 머리는 따로 올려놓은 전체 높이 12.38m의 거구의 불상이다. 이러한 형식의 불상은 고려시대에 많이 만들어졌는데,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보물)도 이와 거의 같은 수법을 보여준다. 머리의 뒷부분은 거의 파손되었으나 앞부분은 온전하게 남아 있다.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높이 솟아 있고, 얼굴에는 자비로운 미소가 흐르고 있어 거구의 불상임에도 전체적인 형태는 자연스럽다. 머리와 얼굴 특히 입에는 주홍색이 남아 있어서 원래는 채색되었음이 분명하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몇 개 안 되는 옷주름은 매우 도식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양손은 검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어 왼손을 가슴에 대고, 오른손을 배에 대고 있는 모습이다. 이 불상은 불두를 따로 제작하여 불신이 새겨진 암벽 위에 얹는 형식은 고려시대에 널리 유행하는 형식이며, 얼굴의 강한 윤곽이나 세부적인 조각 양식으로 볼 때 11세기 경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산숲가든

산숲가든

5.2Km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 충효로 3929
054-823-3333

산숲가든은 임단물을 식재료로 사용하며, 대표적으로 곤드레나물을 이용한 곤드레 돌솥밥과 더덕구이 정식이 있으며 닭 메뉴로는 산에서 생산되는 약용식물을 넣어 조리하고, 맛닭, 산양삼닭백숙이 있다.

농가맛집 뜰

5.2Km    2025-03-14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왼마길 21-10
054-857-6051

직접 재배하거나 주변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재료로 이용하며, 집안 내림 음식인 꿩장에 비벼 먹는 안동 권씨 비빔밥과 계절마다 약간 차이가 있지만, 문어, 산적, 가오리, 돔베기, 북어 보푸라기, 다양한 장아찌 등 안동의 전통요리로 메뉴가 구성되어 있다. 주변 환경으로 텃밭에서 갓 뽑아온 배추며 상추로 쌈도 싸고 손톱에 봉숭아 물도 들이며 음식 만들기, 천연 염색, 야생화 그리기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숙박도 가능하다.

안동향교

안동향교

5.2Km    2025-03-17

경상북도 안동시 향교길 65

안동향교는 6.25 전쟁 때 창건 연대나 향교와 관련된 수많은 기록문서들이 모두 불타 문헌상으로는 고증이 불가능하다. 다만 고려시대의 웅부(雄府)요 조선 개국 이후 많은 인물이 배출된 점으로 미루어 상당히 이른 시기에 개교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고려 말 공민왕이 안동부로 몽진(蒙塵)했을 때 이미 향교가 있었다는 「고려사절요」의 기록이 남아있다. 안동향교는 당초 안동시 명륜동 현 안동시청사 구내에 있었으나 6·25 전쟁 때 소실된 이후 1987년 현 위치에 복원했다. 조선시대의 안동향교는 대설(大設) 규모로 설치되어 있었고, 이는 1987년 복원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현재 대성전에는 송조 사현과 동국십팔현을 봉안하고 있다.

청성서원

청성서원

5.6Km    2024-11-01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웃막실길 10

안동 청성서원은 송암 권호문(1532∼1587)을 추모하는 서원이다. 권호문은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의 문인이며 학자로 평생을 자연에 묻혀 살았는데, 덕망이 높아서 찾아오는 문인들이 많았다. 선조 41년(1608)에 세운 이 서원은 광해군 4년(1612)에 선생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다가, 영조 43년(1767)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세웠다. 고종 5년(1868)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가 그 뒤 1909년 도내 유림들의 뜻에 따라 옛터에 복원하였다. 서원 안에는 강당, 동재, 서재, 정도문, 청풍사, 전사청, 신문 등 모두 7동의 건물이 있다. 이 서원에서는 해마다 2월과 8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5.7Km    2025-01-09

경상북도 안동시 향교1길 51
010-9077-7216

흥해배씨 임연재 종택은 경상북도 안동에 위치해 있다. 1558년에 지어진 고택으로 증병조참판 배천석, 그의 아들 임연재 배삼익이 지었다. 대표적인 조선전기 건축양식으로 인정되는, 양쪽의 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중앙의 문설주를 넣어 만든 커다란 창호인 영쌍창, 인방과 기둥에 의지하지 않고 벽에 액자처럼 걸린 독립창호가 특징인 집이다. 현대식으로 리모델링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투호놀이, 윷놀이 등 전통체험을 즐길 수 있다. 하회마을, 보정사, 학가산온천, 찜닭골목, 시외버스터미널, 이마트, 맘모스제과 등이 주변에 위치하여 편리한 여행을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