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동계곡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막동계곡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막동계곡

막동계곡

16.2Km    2025-08-05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천로

나물산으로 알려진 백석산 허리에서 흘러내리는 막동계곡은 오대천으로 흘러드는 여러 계곡 중에서 단임골계곡, 장전계곡과 함께 경치가 뛰어난 계곡으로 꼽힌다. 계곡위 1.5㎞지점의 널찍한 부분에 민가가 몇 있을 뿐그외 다른 오염원이 없어 물빛이 맑고 계곡의 암반 풍치가 좋으며 기암괴석과 짙은 숲이 파노라마를 이루며 비경을 빚어 놓고 있다. 계곡 입구에는 3단 폭포가 있는데 5m 정도의 폭포가 쏟아져 내리는 모습이 도로변에서도 보여 차량으로 스치는 것만으로도 한여름의 더위를 식혀주는 듯하다. 막동계곡 주변은 산채가 유명하다. 곤드레, 딱주기, 곰취, 나물취, 잔대, 고사리, 더덕, 도라지, 드릅, 산미나리, 원추리 등의 산채와 당귀, 세신, 철남생이, 반하, 인동, 칡 등 약초류가 풍부해서 봄철이면 지역의 부락민과 외지의 산행객이 찾아든다. 산채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이곳에서는 참나물밭, 참나물비탈, 참나물골 등과 같은 지역명으로 불리우고 그 위치에 따라 동편밭, 서편밭골 등으로 구분한다.

봉복사(횡성)

16.2Km    2024-12-05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청일면 청일로 909-88

봉복사는 강원도 횡성군에 있는 삼국 신라시대의 고찰이다. 서기 647년(신라 선덕여왕 1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였으며, 월정사의 말사로 속해 있다. 봉복사는 화재와 전쟁 등으로 인해 여러 차례 소실과 재건이 반복되었으며, 현재는 대웅전, 삼성각, 국사당, 부도전 등의 법당과 삼층석탑, 구층석탑 등의 유물이 남아 있다. 특히 구층석탑은 미얀마에서 모셔 온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고 있으며, 탑신부가 평평한 판 모양으로 되어있어서 이국적인 모습이다. 봉복사 대웅전은 2008년에 새로 지어졌으며, 대웅전 안에는 석가모니불, 관음보살, 지장보살을 모시고 있다. 유물로는 자장율사가 세웠다고 하는 신대리삼층석탑이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데 여러 곳에 한국전쟁 때 총탄의 흔적이 남아있다. 사찰 앞에는 언덕 위에 부도전이 자리하고 있으며, 사찰 뒤로는 태기산이 우뚝 솟아있는 봉복사는 신라의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문화유적으로 가을 단풍철에는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007흥정계곡 반딧불 캠핑장

007흥정계곡 반딧불 캠핑장

16.2Km    2024-07-2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흥정계곡4길 161-12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에 자리 잡은 007흥정계곡 반딧불 캠핑장은 흥정계곡의 최상류에 위치하고 있다. 밤하늘 가득 쏟아지는 별빛 속에서 캠핑을 경험할 수 있다. 아침에 자욱한 물안개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부대시설로 워터슬라이딩, 수영장, 개수대, 공용 냉장고, 전자레인지, 매점, 쉼터 등을 갖추고 있다.

속사송어횟집

속사송어횟집

16.3Km    2025-01-14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운두령로 109-29
033-334-5588

냉수성 어류인 송어는 산간계곡의 맑은 물에 서식하는데 수온이 25℃ 이하로 내려가거나 수질이 탁해져도 먹이를 먹지 않는 습성이 있다. 미탄면 일대와 용평면 노동리 등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계곡물이 흐르고 있는 지역에 다수의 송어양식장이 위치하고 있는 것도 다 이와 같은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경관을 지닌 평창군 산줄기의 맑고 깨끗한 용천수에서 자란 송어는 유난히 부드럽고 쫄깃쫄깃해 씹히는 맛이 일품인데, 주홍빛 붉은 살은 씹을수록 고소하고 담백한 감칠맛이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찾는다.

신대계곡

신대계곡

16.4Km    2025-01-14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청일면 신대리

신대계곡은 태기산과 봉복산 사이로 흐르는 계곡을 가리킨다. 이곳은 여러 계곡이 합수되는 지점에 자리 잡은 청정지대로 계곡물은 맑고 깨끗하여 버들치, 쉬리 꺽지 등이 살고 있다.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면 봉복사와 낙수대를 만날 수 있다. 시원하게 내리는 물줄기에 경관이 좋다. 계곡 인근에는 야영장, 민박 등이 있어 여름에 피서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청성애원 우루루동물농장

청성애원 우루루동물농장

16.4Km    2025-03-25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살구실길 53-10

청성애원 우루루동물농장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에 위치하고 있다. 청정하고 맑은 공기와 볼거리, 놀거리, 먹을거리가 준비되어 있다. 청성애원안에는 우루루동물농장뿐만 아니라, 펜션, 식당, 카페, 물놀이장, 야생화밭, 산책길 등 운영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행복하게 힐링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귀여운 아기동물 및 다양한 동물을 만날 수 있는 동물농장이다.

평창 수항리사지

평창 수항리사지

16.4Km    2025-03-27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수항절터길 147

오랫동안 수항리절터로만 알려져 오다 1983년 〈태백곡수다사(太伯谷水多事)〉 등의 명순기와 등이 출토되어, 이곳이 삼국유사에 기록된 수다사지(水多寺址)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문헌상으로는 〈세종실록지리지〉가 완성된 조선 단종 2년(1432년)까지 나타나다가 〈동국여지승람〉부터는 기록이 보이지 않는 점으로 보아 약 15세기까지는 존속했던 사찰로 추정된다. 유적으로는 부재 일부가 결손 되어 원형을 찾아볼 수 없는 석탑 1기와 건물지의 주초석이 남아 있다. 조선보물조사 연구에 의하면 이곳에 삼층석탑 1기, 석불입상 2구, 석불좌상 1구, 당간지주 1기와 탑의 석조물이 있었으나 6·25 때 유실되었다고 한다. 현재 남아 있는 석탑 1기도 동란 중 도괴된 것을 부락에서 탑재를 수습하여 그 일부를 복원하였다고 하는데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과 같은 가구수법을 보이고 있다. 〈삼국유사〉에서는 자장 이후 월정사에 주석한 스님을 차례로 소개하면서, 신효거사, 범일 문인 신의 및 수다사 장로 유연을 들고 있다. 따라서 신의보다 후세대이거나 적어도 동시대인 9세기 후반 내지 10세기 초까지의 수다사의 존재를 알 수 있다.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비에 의하면 지광국사 해린이 11세기 초에 동사에서 10년간 주지하였다고 전한다. 이곳에서는 1987년 12월 대형 고려시대 금고 1점과 촛대부속구 1점이 발견되었으며, 촛대부속구에 외반 된 구연부 뒷면에 대정 28년으로 시작되는 명문이 있어 적어도 고려 명종 18년(1188)에는 이 사찰의 법등이 이어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청성애원

청성애원

16.5Km    2025-01-06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살구실길 53-10

해발 700M고지, 인간과 자연이 가장 살기 좋은 곳에 자리 잡은 청성애원은 5만여평의 목장에서 각종 한약재와 산야초를 먹이며 자연방목한 사슴, 흑염소, 토종닭을 재료로 정성을 다해 요리한다. 건강식뿐만 아니라, 각종 일반식사 및 삼계탕 등도 제공하며, 여름에는 콩국수 등 계절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단체예약이 가능하며 돌잔치, 생일파티 및 어르신들 잔치에도 제격이다. AI서빙로봇이 구비되어 있다.
맛있는 식사와 향기로운 차와 함께 동물농장과 야생화정원에서 힐링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가재와곰펜션

가재와곰펜션

16.5Km    2025-01-21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흥정계곡4길 212-27
033-336-3357

가재와곰펜션은 강원도 평창군 흥정계곡 상류에 위치한 통나무 펜션이다. 객실은 모두 독채로, 황토방만 단층이고 나머지 방은 복층 구조다. 와동과 가재동은 1층에 온돌방, 2층에 침대방을, 곰동은 1층에 침대방, 2층에 다락방을 갖췄다. 황토방은 아궁이로 불을 지필 수 있다. 모든 객실의 테라스에선 개별 바비큐를 즐길 수 있다. 계곡 옆에 방갈로와 노래방, 족구장이 있고, 휴게실에서는 커피와 차를 무료로 제공한다.

산마을풍경

산마을풍경

16.5Km    2024-07-09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흥정계곡4길 233-9

몸에 좋은 황토로 지은 흙집이며, 인정이 넘치는 이곳, 피로에 지친 몸과 마음을 흥정산마을 풍경에서 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