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Km 2024-03-15
서울특별시 광진구 동일로18길 96
02-498-1939
한국 미식프로그램에 소개된 매장이다 대표메뉴는 양꼬치다.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있는 중식전문점이다.
3.8Km 2021-03-15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4길 73
02-962-2885
즉석 떡볶이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떡볶이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3.8Km 2025-07-18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10길 12 (동숭동)
미어캣파크는 미어캣, 강아지, 고양이, 앵무새 등의 이색 동물들과 함께 하는 체험 카페이다. 동물과 사람의 안전을 위해 5세 미만은 체험이 불가하다. 각 동물마다 체험방이 따로 있으며, 미어캣 체험은 1팀당 15분만 가능하다. 앵무새 체험의 경우 시간제한 없이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카운터에서 먹이를 사서 줄 수 있다. 체험방마다 동물의 이름을 소개하고 주의해야 할 부분들을 적어놓은 안내문이 있다.
3.8Km 2025-05-14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864 (신사동)
서울옥션은 1998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미술품 경매 회사다. 오프라인/온라인 경매를 통해 한국 고미술과 근현대 미술은 물론, 콜렉터블 아트, 와인, 보석, 건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품목을 선보인다. 또한 평창동 본사와 강남센터는 물론 부산과 홍콩 전시장을 갖추고 있어 경매 외에 다양한 문화 이벤트와 전시, 아카데미 등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옥션은 평창동에 이어 2019년 1월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서울옥션 강남센터 문을 열었다. 평창동 서울옥션 사옥과 인천국제공항 그리고 최근에는 퐁피두 센터 서울관의 설계로 잘 알려진 프랑스 건축가 장 미셸 빌모트(Jean-Michel Wilmotte)가 디자인과 설계를 맡은 건물로, 지상 8층, 지하 5층 규모로 경매장, 전시장, 이벤트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 압구정 중심지에 위치한 서울옥션 강남센터는 대중들이 일상 속에서 미술을 향유하고, 미술품 경매를 보다 가깝게 느끼고 경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곳은 다양한 대관 행사를 위한 최적의 시스템 또한 갖추고 있으며, 목적의 따라 다양하게 변모하는 특별한 공간이다.
3.8Km 2024-12-02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10길 17
대학로예술극장은 대학로 공연예술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공연장이다. 대학로에 문화적 활력을 제공하고 차세대 예술가의 발굴과 배출을 위해서 다양한 공연 예술작품을 개발하여 지원하고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곳은 504석 규모의 대극장, 150석 규모의 소극장을 갖추고 있다. 대극장 1, 2층은 부채형 객석과 액자형 무대로 이루어져 있고 관객과 가까이 호흡할 수 있도록 객석과 무대의 거리를 좁혀 공연의 생생함을 전달한다. 본무대는 컴퓨터를 통해 제어되는 시스템이다. 하부무대는 오케스트라 피트가 있고 여러 트랩의 무대로 구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무대연출이 가능하다. 공연장 어디서든 신호체계로 운영되는 모든 조명 장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간에 최적화된 음향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소화한다.
3.8Km 2025-04-14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210 (신사동)
창희보석예술관은 조창희주얼리(구 제이젬)에서 운영하는 보석 작품 전시 예술관이다. 약 35년간 보석 및 귀금속 세공 장인인 조창희 씨의 예술적인 감각과 장인 정신으로 다양한 보석, 화석, 나무, 금속 등을 소재로 하여 제작한 작품을 전시하였다. 기존의 원석의 종류와 특성만 알려주던 박물관에서 탈피하여 스토리가 있는 살아있는 예술작품으로 승화시켜 50여 년간의 주얼리 디자인, 세공기법들을 함께 엿볼 수 있도록 전시했다. 3억 년 된 나무화석, 200㎏의 종유석, 350㎏의 황수정 원석 등의 희귀한 원석들로, 작게는 30㎝에서 크게는 3m에 이르는 약 50점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3.8Km 2021-03-09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8가길 79, 2층
02-743-9599
서울특별시 대학로에 있는 한식당이다. 한국식 BBQ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돼지갈비이다.
3.8Km 2025-06-11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10길 17 (동숭동)
02-3216-1185
1998년 제13차 국제무용협회(CID-UNESCO) 세계총회 서울 유치를 계기로 시작된 시댄스는 지난 25년 동안 아시아와 유럽을 비롯해 아프리카, 중남미, 오세아니아, 중동 등 전 세계에서 외국 433개, 국내 572개 단체와 예술가들의 다양한 작품을 초청해 선보여 왔다. 외국의 최정상급 작품과 라이징 스타를 국내 관객에게 소개하고, 한국의 무용가들을 해외에 진출시키는 가교 역할을 하며 국내 최대 규모이자 최고 수준의 국제무용 페스티벌로 자리매김했다. 2018년부터는 <난민>, <폭력> 등 사회정치적 이슈를 다루는 특집을 기획해 예술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많은 제약 속에서도 2020년 온라인 축제와 2021년 하이브리드 축제를 개최하며 무용 공연의 영상화와 국제 온라인 공연마켓을 선도했다. 단계적 일상 회복에 따라 대면 축제를 재개했고, 본격적인 무용예술의 장으로서 예술가와 시민들을 함께 아우르는 진정한 축제로 나아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