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애다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삼애다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삼애다원

삼애다원

15.4 Km    0     2023-12-05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광주 증심사 입구의 왼쪽 무등산 자락에 위치한 삼애다원(三愛茶園)은 춘설차(茶)의 본고장이다. 춘설차는 녹차가 어떤 음식보다 심신 건강에 좋다는 의미로 의재 허백련(1891~1977) 화백이 붙인 이름이다. 이곳은 총면적 9만 9174㎡의 차밭으로, 증심사의 소유로 수백 년을 내려온 곳이다. 1912년 일제강점기 때 한 일본인이 일부를 인수해 본격적인 기업형 차밭으로 개발, 1937년에는 생산량이 연간 5,333kg에 이르렀다고 한다. 예부터 무등산 차는 구례의 지리산, 보성의 대원사 등의 차와 함께 최고의 맛을 인정받았다. 일제가 물러가고 차밭이 방치되자 한국화의 대가 의재 허백련 화백이 이를 맡게 된다. 의재는 차밭에 ‘삼애다원’이란 이름을 붙이고, 여기서 덖어낸 찻잎으로 녹차와 홍차를 생산해 판매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의재의 손자 허달재와 허달문 씨 형제가 3대째 운영하고 있으며, 광주시 전통식품 1호, 광주시 동구 명품으로 선정되는 등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아리따움 광주진월점

아리따움 광주진월점

15.5 Km    0     2024-04-23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258-7

-

고원희가옥

고원희가옥

15.5 Km    16396     2024-06-03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1길 12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전사한 의병장 고경명의 옛 집터를 그 후손들이 여러 차례 고쳐지은 집이다. 이 집은 후손들이 여러 차례 고쳐 지은 집으로 현존 가옥은 1917년 건축한 것이다. 예전에는 더 많은 건물이 있었는데 현재는 사랑채, 안채, 곳간채, 사당, 대문 등이 남아있다. 대문은 정면 세칸, 측면 한칸이다. 사랑채는 정면 네칸, 측면 한칸으로 앞뒤로 마루가 있는 팔작 기와집이다. 다듬돌 바른 층 쌓기의 두벌대 기단위에 덤병주초석을 놓고 원형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에는 우미량과 굴도리, 장혀를 보아지와 함께 결합하였다. 평면은 좌로부터 한칸의 방 3개와 한칸의 대청을 1단 높혀 누마루로 되어 있다. 안채는 정면 여섯칸, 측면 한칸에 전후좌우에 마루가 있는 팔작 기와집이다. 내부가구는 고주 위에 대량을 걸치고 판대공을 놓았다. 창호는 전체가 양쪽으로 열어지는 문이며, 방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 넉살창이 있다. 숭정기원후오갑정사윤이월초구일(崇禎紀元後五甲丁巳閏二月初九日)이라는 상량문에 글씨가 쓰여 있는데 이것으로 건립연대가 1917년임을 알수 있다. 사당은 고경명장군과 그 아들 종후, 인후 형제의 부조묘이다. 이 사당은 정면 세칸 측면 한칸으로 앞에만 마루가 있으며 맞배지붕이다. 외별대의 낮은 기단위에 덤벙 주초석을 놓고 현형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에는 첨자형의 포로 결합하였고, 초익공 위에는 용두를 빼내고 장혀와 굴도리를 얹었다. 내부가구는 대량위에 동자주를 얹고 종보를 걸친 뒤 그 위에 다시 판대공을 놓았으며, 겹처마에 조잡한 모조 단청을 하고 있다. 건립연대는 안채보다 빠른 시기로 추측된다. 내부로 입장하기 위해서는 거주하시는 분의 사전 허락을 받아야 하며 문화재 무료 오픈 장소가 아니기 때문에 내부 촬영은 더더욱 금기이다.

고씨삼강문

15.6 Km    16185     2024-06-03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길 66

고씨삼강문은 조선시대 고경명과 고경명의 동생인 고경형, 고경명의 아들인 고종후와 고인후, 딸인 영광유생 노상룡의 부인, 고경명의 조카 고거후의 부인인 광산정씨, 고경명의 손자 고부금 총 7명의 충, 효, 열을 기리는 정려문이다. 정려문은 효자, 효부, 열녀, 충신을 기리기 위해 지은 건물이나 문을 말한다. 현존 건물은 1844년에 세운 것으로 사방에 홍살문을 설치하여 내부를 차단하고 앞 뒤 이열로 정려현판을 걸었다. 정면 네칸, 측면 한칸의 맞배지붕으로 지붕은 부연이 없는 홑처마로 처리했다. 건물 밖에는 담장을 돌리고 외삼문을 세웠으며 삼강문 옆에는 고씨문중의 제각인 추원각이 있다. 장흥고씨 삼강문은 충렬공 고경명의 태생지인 압촌동 마을입구에 있다. 정석7간 측면 1간의 골기와 8작지붕으로서 임진왜란 후 왜병이 철수한 선조28년(1595)에 고경명일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선조가 명하여 세웠다. 충렬공 제봉 고경명(1533~1592) 선생은 압촌동에서 태어나 여러 관직을 거쳐 1591년 동래부사를 끝으로 고향으로 돌아왔다. 선생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금산에서 왜병과 싸우다 두 아들과 함께 전사하였다.

무등산

15.6 Km    65975     2024-05-20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061-379-3503

무등산이란 명칭은 서석산과 함께 고려 때부터 불린 이름으로, 비할 데 없이 높은 산 또는 등급을 매길 수 없는 산이란 뜻이다. 무등산에는 수많은 볼거리가 많이 있는데, 어떤 것은 멀리서도 바라볼 수 있도록 우뚝 솟아있는 것도 있지만, 어떤 것은 가까이 가서야 볼 수 있는 것도 있다. 무등산은 가파르지 않은 편이라 휴일이면 무등산의 경승을 즐기려는 인파가 끊이지 않는다.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한 옷차림으로 산을 오를 수 있다. 볼만한 풍경이 있는 구경거리는 서석대, 입석대, 세인봉, 규봉, 원효계곡, 용추계곡, 지공너덜, 덕산너덜 등이 있다. 전망을 즐기려면 중머리재, 장불재, 동화사터, 장원봉 등이 있다.

카페지즈

카페지즈

15.6 Km    1     2024-02-19

광주광역시 동구 동산길 42

카페지즈는 광주광역시 운림동에 있는 대형 디저트 카페이다. 3층 규모의 감성적인 분위기로 넓은 마당에 들어서는 순간 큰 저택을 마주한 기분이 든다. 무등산 국립공원 근처 조용한 위치에 자리 잡아 여유와 휴식 시간을 누릴 수 있다. 날씨가 좋을 때는 야외 테라스에서 주변 풍경을 바라보며 자연을 느낄 수 있다. 테이블 간격이 넓어 프라이버시가 지켜질 수 있고 인테리어 소품들 하나하나가 미소를 짓게 한다. 다양한 종류의 커피와 음료가 있고 베리 스콘, 오레오 브라우니, 바스크 치즈 케이크, 말차 마카다미아 쿠키 등 디저트 종류도 많다. 흑임자라테, 버터 스카치 라테, 넛츠 라테는 추천 음료이다. 밤이 되면 조명이 아름다워 또 다른 느낌을 즐길 수 있다.

남해가든

15.6 Km    5372     2023-10-31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로133번길 23
062-671-8348

남해가든은 광주 남구 봉선동에 있는 한우 전문점이다. 한우암소만을 고집하며 40년 넘게 신선하고 담백한 한우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한우를 부위별로 맛볼 수 있으며, 마블링이 골고루 분포된 꽃살, 안창살, 안심추리 등 다양한 부위를 판매한다. 단체 손님도 수용 가능한 넓은 내부와 전용 주차장도 마련되어 있다.

이화원

이화원

15.7 Km    1     2024-04-08

전라남도 나주시 상야1길 20

나주 혁신도시에 있는 중식당 이화원은 베이징, 사천, 광둥요리 등 다양한 중국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주차 공간이 넓고 접근성이 좋아 손님들로 늘 북적인다. 고급 중식당 느낌으로 화려한 인테리어와 다채로운 소품이 돋보인다.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회식이나 모임 장소로도 적합하다. 코스 요리부터 단품 메뉴까지 메뉴가 다양하여 입맛에 따라 취향껏 골라 먹을 수 있다.

전주양반돌솥밥

15.7 Km    1     2023-03-09

전라남도 나주시 배멧3길 19-13

전주양반돌솥밥은 전주의 대표음식으로 영양돌솥밥이며 집안의 노하우인 양념장으로 간을 해서 여러 가지 야채와 비벼먹고 누릉지를 긁어 먹으면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음식이다. 능이 삼계탕은 육수와 능이를 끓여 진한 육수 맛과 능이 향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대형가게로 동시에 170명까지 수용 가능하며 대.소 연회석은 파티션으로 만들어 드릴 수 있는 방도 준비되어 있다.

호텔코어

15.7 Km    2     2023-12-28

전라남도 나주시 배멧3길 19-13 (빛가람동)

나주 혁신도시 빛가람 호수공원 인근의 호텔코어는 호수공원과 빛가람 전망대를 조망할 수 있는 2성급 프리미엄 비즈니스호텔이다. 8층의 건물에서 6층에서 8층까지의 공간만 호텔로 사용하고 있으며 로비는 6층에 있다. 객실의 크기도 넉넉하고 투숙객을 위한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는 가성비 있는 호텔로 주 고객층은 출장 여행객이다. 방마다 스타일러가 비치되어 있어 호텔에서 묵는 동안 깔끔한 옷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어 여행객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편리하다. 호텔이 있는 건물의 1~5층에 식당가와 편의점이 있어 식사 등 간단한 요깃거리가 가능하고 호텔 건물 인근으로 주변 상권이 발달하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