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공예주간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2025 공예주간 정보를 소개합니다.

  • 2025 공예주간

설명

국내 최대 규모로 열리는 공예 축제, 2025 공예주간 공예주간은 공예의 즐거움을 알리고 나누고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주관으로 시작한 공예 행사입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하는 공예주간은 ‘공생공락(共生工樂, Living Together Craft Together)’을 슬로건으로 정하고 거점도시 강원 고성·전북 부안·전북 전주를 중심으로 다채로운 공예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더불어 서울·경기·부산·제주 등 전국 곳곳에서 전시, 체험, 마켓 등 기획 프로그램도 열리며 폭넓은 생산과 소비 활동이 만나는 복합 플랫폼을 생성함으로써 일상의 공예를 즐기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 고성 033-681-0112
- 전주 063-281-1613
- 부안 070-8826-9675


홈페이지

공식 홈페이지 https://gold-asteroid-e06.notion.site/
공식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koreacraftweek/


이용안내

행사 시작일 : 2025년 05월 16일

행사 종료일 : 2025년 05월 25일

행사 장소 : 공예주간 거점도시 외 전국

공연시간 : 각 운영처 별 상이

주최자 정보 : 문화체육관광부

주최자 연락처 : - 고성 033-681-0112
- 전주 063-281-1613
- 부안 070-8826-9675

주관사 정보 :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주관사 연락처 : - 고성 033-681-0112
- 전주 063-281-1613
- 부안 070-8826-9675

이용요금 (이용시간) : 각 운영처 별 상이


상세정보

행사소개
국내 최대 규모로 열리는 공예 축제, 2025 공예주간 공예주간은 공예의 즐거움을 알리고 나누고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주관으로 시작한 공예 행사입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하는 공예주간은 ‘공생공락(共生工樂, Living Together Craft Together)’을 슬로건으로 정하고 거점도시 강원 고성·전북 부안·전북 전주를 중심으로 다채로운 공예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더불어 서울·경기·부산·제주 등 전국 곳곳에서 전시, 체험, 마켓 등 기획 프로그램도 열리며 폭넓은 생산과 소비 활동이 만나는 복합 플랫폼을 생성함으로써 일상의 공예를 즐기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행사내용
2025 공예주간 거점도시 고성 [CRAFTRIP GOSEONG: 이음과 연결의 공예, 당신과 함께 그린 고성] - 운영지역: 고성군 일대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 (전시) 공예로 이음 - (체험, 공연) 공예로 연결 - (전시, 체험) 공예로 그린 - (워크숍, 전시) 당신과 함께 그린 고성 - (마켓, 체험) 영동 하나로 공예 마트 - 운영기관: 고성문화재단 2025 공예주간 거점도시 부안 [부안상감 X 부안감상] - 운영지역: 부안군 일대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 (전시, 체험, 카페, 마켓) 부안상감(청자박물관 프로그램) - (이벤트, 체험, 마켓) 부안상감(청자박물관 야외 프로그램) - (전시, 체험, 마켓) 부안상감(공예 갤러리: 공생공락 共生工樂) - (체험) 부안상감(상감 클래스) - (체험, 마켓) 부안감상(부안 미술(美術)랭) - (체험) 부안감상(팝업 크래프트) - 운영기관: 부안군문화재단 2025 공예주간 거점도시 전주 [전주공예마을 여정 : 유람기] - 운영지역: 전주시 일대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 (전시) 공예유람스팟 - (체험) 지역작가와 함께하는 놀공체험 - (투어) 공예 유람단: 사흘간의 동행 - (마켓) 공예유람 마켓 - (이벤트) 공예 놀이터 - 운영기관: 전주문화재단 2025 공예주간 기획 프로그램 [미래공예] - 운영지역: 서울 - KCDF갤러리(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11길 8) - 문화역서울284 RTO(서울시 중구 통일로 1) - 운영기간: 5.16.(금) ~ 25.(일) (월 휴관) - 운영내용: 전시, 강연(공예 심화) - 전시 <미래공예> - 강연 <공예, 그리고 다음>(라운드토크) - 운영기관: 컨트리뷰터스(유무형연구소)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남산골 HOME] - 운영지역: 서울 - 남산골한옥마을(서울 중구 퇴계로34길 28)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전시·마켓·체험(마켓 확산) - 전시 <오늘의 공예> 5.16.(금) ~ 25.(일) - 마켓 <일상의 공예> 5.16.(금) ~ 18.(일), 5.23.(금) ~ 25.(일) - 체험 <나만의 공예> 프로그램별 상이 - 운영기관: 쥬스컴퍼니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수선 공예 놀이터: 뻔한 옷을 Fun하게!] - 운영지역: 서울·경주 - 노노샵(서울 용산구 보광로 90 중계동) - 옥수티앤티바(서울 성동구 독서당로39길 48) - 트레바리 안국 아지트(서울 종로구 율곡로10길 12) - 포틀리에(서울 성북구 솔샘로 15) - 플레이스 C(경북 경주시 국당2길 2)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전시, 체험, 마켓(공예 동행) - 전시 5.16.(금) ~ 18.(일), 5.20.(화) ~ 21.(수) - 마켓 5.16.(금) ~ 18.(일), 5.20.(화) ~ 21.(수), 5.22.(목) ~ 23.(금) - 워크숍 프로그램별 상이 - 쇼케이스 5.17.(토), 5.21.(수) - 운영기관: 재니들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소만의 일들] - 운영지역: 서울 - 티더블유엘(서울시 용산구 녹사평대로 40나길 34) - 운영기간: 5.16.(금) ~ 25.(일) (월 휴관) - 운영내용: 전시, 체험, 마켓, 강연(공예심화) - 전시 <소만의 일들> - 체험 <제철 도시락 클래스>, <제주 봄 햇차 다회> 외 - 마켓 <소만장> - 강연 <소만의 아회> - 운영기관: 티더블유엘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내 책상 위의 천사] - 운영지역: 서울 - 팩토리2(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0길 15) - 운영기간: 5.9.(금) ~ 25.(일) (월, 화 휴관) - 운영내용: 전시(청년네트워크) - 전시 <내 책상 위의 천사> - 체험 <책상 위의 천사들>, <사물과 관계맺기, 글쓰기 워크숍>, <생기적 유물론에 대한 이론 북클럽> 외 - 운영기관: 팩토리에디션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쓰임이 있는 아름다운 공예] - 운영지역: 경기(양평) - 구하우스 미술관(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무내미길 49-12) - 운영기간: 5.16.(금) ~ 6.29.(일) - 운영내용: 전시, 체험(공예 동행) - 전시 5.14.(수) ~ 6.29.(일) - 체험 <버려진 나무조각을 살려라>, <버려진 나무조각, 예술로 피어나다> 5.16.(금) ~ 25.(일) - 운영기관: 구하우스미술관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2025 공예로운 한옥마을] - 운영지역: 경기(김포) - 김포한옥마을(경기도 김포시 모담공원로 170) - 운영기간: 5.16.(금) ~ 18.(일) - 운영내용 : 전시, 마켓, 체험(공예 동행) - 전시 <공예, 물성의 매력> - 마켓 <공예이일장> - 체험 <한옥마을 입주공방 공예체험> - 운영기관: 김포도예가협회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공예로(工/共藝路), 동두천] - 운영지역: 경기(동두천) - 에코뮤지엄(경기도 동두천 중앙로 353번길 7) - 운영기간: 5.16(금) ~ 5.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전시, 체험 - 전시 <공예로 전시> - 체험 <공예로 오픈 투어> - 운영기관: 스페이스아프로아시아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PEACE ISLAND CRAFT FESTA] - 운영지역: 인천 - 연평초등학교(인천시 옹진군 연평면 연평로137번길 101) - 연평종합회관(인천시 옹진군 연평면 연평로 168) - 백령종합사회복지관(인천시 옹진군 백령면 백령로271번길 20) - 대청도 일대(인천시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 운영기간: 5.16.(금) ~ 5.30.(금) - 운영내용: 체험, 전시(공예 동행) - 체험 5.19.(월) - 체험 5.22.(목) ~ 23.(금) - 체험 5.23.(금) ~ 24.(토) - 체험 5.19.(목), 5.22.(목) ~ 24.(토) - 체험 5.22.(목) - 전시 5.19.(월) ~ 24.(목), 5.23.(금) ~ 30.(금), 5.24.(토) ~ 30.(금) - 운영기관: 공공프리즘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Craft Commons : 머무르며, 탐구하고, 연결하는 공예 공동체] - 운영지역: 충남(부여) - 123사비공예마을(충남 부여군 규암면 수북로41번길 11-21) - 운영기간: 5.23.(금) ~ 25.(일) - 운영내용: 체험(지역 특화) - 규방공예 워크숍 <푸새와 배접만들기> - 도자공예 워크숍 <라쿠(樂燒/Raku) 소성 기법을 활용한 도자 제작> - 직조공예 워크숍 <4종광 수직기 직조 워크숍> - 운영기관: 공예마을규암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공주의 손(手)길] - 운영지역: 충남(공주) - 갤러리 마주안(충남 공주시 대통1길 56-6) - 이미정 갤러리(충남 공주시 감영길 12-1) - 민갤러리(충남 공주시 웅진로 154-4 2층) - 운영기간: 5.15.(목) ~ 25.(일) - 운영내용: 전시(지역 특화) - 갤러리 마주안 5.15.(목) ~ 25.(일) - 이미정 갤러리 5.20.(화) ~ 25.(일) - 민갤러리 5.20.(화) ~ 25.(일) - 운영기관: 공주문화관광재단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PLAY CRAFT! ENJOY CRAFT!] - 운영지역: 대전 - 빅마켓(대전 유성구 장대동 280-2 일대) - 운영기간: 5.16.(금) ~ 5.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체험, 마켓(마켓 확산) - 체험 <유성시장 장 투어>, <나전칠기 오브제> 외 5.16.(금) ~ 25.(일) - 마켓 <유성장 공예마켓> 5.19.(월), 5.24.(토) - 운영기관: 빅마켓 협동조합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복(福)으로 치유하는 길상展 및 액막이 공예테라피] - 운영지역: 강원(강릉) - 고래책방(강원 강릉시 율곡로 2848 4층) - 오죽한옥마을 사물재(강원 강릉시 죽헌길 114)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전시, 체험(지역 특화) - 전시 <복(福)으로 치유하는 공예테라피 展> - 체험 <액막이 북어인형 만들기>, <전통매듭 체험>, <전통민화 체험> 5.17.(토) ~ 5.21.(수), 5.22(목) ~ 25.(일) - 운영기관: 깁스토리랩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춘천 목수마켓] - 운영지역: 강원(춘천) - 의암공원 인라인스케이트장(강원 춘천시 수변공원길 18) - 운영기간: 5.18.(일) - 운영내용: 전시, 마켓(마켓 확산) - 체험 <모두가 목수> - 마켓 <춘천 목수마켓> - 운영기관: 주식회사 뚝딱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인생공예, 일상공예] - 운영지역: 전북(고창) - 전통예술체험마을 일원(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438-1) - 운영기간: 5.22.(목) ~ 25.(일) - 운영내용: 전시, 체험, 마켓(공예 동행) - 전시 <인생공예 : 기억하는 공간>, <일상공예 : 감각하는 공간> - 체험 <고창 공예 마스터 클래스>, <고창 공예 체험> - 마켓 <고창 공예마켓> - 운영기관: 고창문화관광재단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2025 빛의 향연, 광주에서 잇다] - 운영지역: 광주 - 연재/아카이브 메모리즈(전남 광주시 동구 동명로 57-2) - 충장22(전남 광주시 동구 충장로 22번길2) -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전남 광주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전시, 체험, 마켓(청년네트워크) - 전시, 마켓, 체험 <도심 속 손끝, 공예의 여정> (장소: 연재/아카이브메모리즈) 5.16.(금) ~ 25.(일) - 마켓, 체험 <도심속 거리 위, 젊은 공예가 피어나다> (장소: 충장22) 5.16.(금) ~ 21.(수) - 전시, 마켓, 체험 <빛으로 잇는 공예, 마음으로 닿는 시간> (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5.23.(금) ~ 25.(일) - 전시 <공생공락(共生共樂): 함께 만드는 일상의 공예> - 전시 <빛과 공예의 향연, 광주에서 잇다> - 운영기관: 연재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천년지사 : 천년의 실, 함창명주] - 운영지역: 경북(상주) - 명주정원(경북 상주시 함창읍 새잼이길 77) - 운영기간: 5.16(금)~5.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전시, 마켓, 체험(지역 특화) - 전시 <함창명주 의상 디자인> 5.16.(금) ~ 25.(일) - 마켓·체험 5.24.(토) ~ 25.(일) - 운영기관: 아워시선 주식회사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하이파이브 칠곡] - 운영지역: 경북(칠곡) - 갤러리 파미(경북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 10길 12)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전시, 체험, 마켓(지역 특화) - 전시 <공예운> 5.16.(금) ~ 25.(일) - 체험 <릴레이스튜디오>, <안녕 칠곡> 5.16.(금) ~ 25.(일) - 마켓 <공예 스트릿> 5.17.(토) ~ 18.(일), 5.24.(토) ~ 25.(일) - 운영기관: 놀배즐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2025 동남권 공예 페스타: 크래프트 브릿지(Craft Bridge)] - 운영지역: 부산, 울산, 경남(김해), 경남(양산), 경남(창원) - 자람더잘함센터(부산시 수영구 수영로 687 우성빌딩 4층) - 당평초등학교(부산시 부산진구 백양대로 136번길 262) - 김해민속박물관(경남 김해시 분성로 261번길 35) - 도예공방리원(경남 양산시 매곡4길 25) - 목공방나무집(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수곡로 50-50) - 정철교미술관(울산시 울주군 거생면 덕골재길 31-6)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프로그램별 상이 - 운영내용: 전시, 체험, 마켓, 투어(마켓 확산) - 전시 <감정의 재질> 5.16.(금) ~ 25.(일) - 체험 <도자공예: 가족캐릭터 접시 만들기> 5.22.(목) - 체험 <금속공예: 칠보공예로 팬던트 목걸이 만들기> 5.23.(금) - 체험 <섬유공예: 전사 색종이로 에코백 만들기> 5.19.(월) - 체험 <봄이 피어나는 풍선 정원> 5.24.(토) - 마켓 <공예마켓 두손> 5.24.(토) - 투어 <김해민속박물관> 외 5.17.(토) ~ 18.(일) - 운영기관: 자람더잘함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수작산책(手作散策)] - 운영지역: 울산 - 미지의(울산 울주군 상북면 송락골길 130) - 빌라오아시스(울산 북구 화봉동 송내 2길 45)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전시, 체험, 마켓, 강연, 공연(청년 네트워크) - 미지의 5.16.(금) ~ 25.(일) - 빌라오아시스 5.17.(토) ~ 24.(토) - 운영기관: 크래프터즈 2025 공예문화 기획 프로그램 [일상이공예] - 운영지역: 제주 - 신효마을(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효돈로 123번길 21-1) - 운영기간: 5.16.(금) ~ 25.(일) 공예주간 내 - 운영내용: 체험(지역 특화) - 체험 <공예공방 체험>, <한평공예> - 마켓 <파치마켓> - 운영기관: 귤림공방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53 (안국동)

담그랑께 나누랑께

담그랑께 나누랑께

2025-11-19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로 55 (중앙동4가)
063-232-9938

온 동네가 모여 떠들썩하던 옛 김장철의 정취가 다시금 전라감영에 살아난다. 11월 30일, 전라감영 서편부지에서 펼쳐지는 <담그랑께 나누랑께>는 김장 체험을 중심으로 퍼포먼스 · 전통놀이 · 공연 등이 어우러진 다채로운 역사 활용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다. 마을 공동체 문화의 따뜻한 감성을 현대적으로 풀어낸 특별한 자리로, 예부터 이웃들이 한데 모여 손맛을 보태고 정을 나누던 '김장 공동체'의 풍경을 되살리고자 한다. 이날 김장 체험을 통해 만들어진 김치는 지역 내 취약계층에게 전달될 예정이며, 참여자들은 김치를 함께 담그고 나누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몸소 느끼고, 서로를 돌보고 마음을 나누는 전통의 가치가 지역 사회에 온기를 더하는 특별한 하루를 선사하고자 한다.

홍성 백반 페스타

홍성 백반 페스타

2025-11-14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광천1길 22
070-4125-2815

2025 홍성백반페스타는 홍성군 광천문화시장에서 열리는 축제이다. ‘광천 한 상을 담다’를 주제로, 로컬 식재료로 구성된 백반 반찬과 글로벌 김밥 등 다양한 먹거리 체험을 선보인다.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김굽기·젓갈백반 쿠킹클래스·도시락 키링 만들기 등 체험행사와 공연, 전시, 방문객 선물 이벤트가 함께 운영된다. 지역 농산물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도모하며, 홍성의 맛과 멋을 한 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대표 로컬 축제이다.

2025 상상플랫폼 술술페스타

2025 상상플랫폼 술술페스타

2025-11-14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33 (북성동1가)
1544-7056

‘2025 상상플랫폼 술술페스타’는 인천 개항장 일대에서 열리는 로컬 전통주 문화 축제이다. 개항장의 오래된 감성과 현대적인 공간이 어우러진 상상플랫폼 웨이브홀에서 전국 32개 양조장이 참여해 우리술 시음과 판매를 진행한다. 막걸리 만들기와 전통주 칵테일 클래스, 술지게미 비누 만들기 등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버스킹 공연과 DJ파티 등 음악 콘텐츠가 더해져 젊고 활기찬 축제 분위기를 만든다. 코베아 캠핑 팝업존과 로컬푸드 마켓이 함께 구성되어 지역 브랜드와 협업한 복합 문화공간이 조성된다. 개항장의 로컬 매력을 기반으로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인천 대표 전통주 페스티벌이다.

굿네이버스 세계 놀이 페스티벌 '놀자GO! 지구로!'

굿네이버스 세계 놀이 페스티벌 '놀자GO! 지구로!'

2025-11-13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양덕남로 166 (양덕동)
053-214-7124

굿네이버스 경북사업본부에서 세계 전통 놀이 페스티벌을 진행한다. 굿네이버스는 한국에서 설립되어 굶주림 없는 세상,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전문사회복지사업과 국제개발협력사업을 활발히 수행하는 글로벌 아동권리 전문 NGO이다. 굿네이버스 세계 놀이 페스티벌에서 굿네이버스 사업장과 세계 각 나라의 문화와 놀이를 알고 직접 체험하여 아동의 4대 권리 중 하나인 놀 권리를 알아볼 수 있다. 세계 놀이 페스티벌에서 다양한 나라 놀이 체험을 하고 세계교육인증 수료증도 받아갈 수 있다. 세계 놀이 체험과 함께 마술쇼와 버블쇼, 풍선아트 등 다양한 공연과 체험활동도 할 수 있다.

구리 빛 축제

구리 빛 축제

2025-11-07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031-550-2485

구리 빛 축제는 ‘장자호수공원, 빛으로 걷는 시간'을 주제로 장자못 설화와 겨울동화를 결합한 공간 연출로 구리의 밤을 환상적인 빛으로 수놓는 축제이다. 도심 속 호수공원을 배경으로 빛 조형물과 포토존이 설치되어 있으며, 11월 1~3주 주말에는 페이스 페인팅, LED 쥐불놀이, 비눗방울 체험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아울러 장자못 축제, 음악창작소 빛 축제 콘서트 등 다채로운 연계행사도 함께 즐길 수 있다.

방배카페 골목페스타

방배카페 골목페스타

2025-11-11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중앙로 193 (방배동)
070-4266-5368

본 행사는 방배카페골목 상권의 브랜드 가치를 널리 알리고, 상인과 주민, 주변 직장인 모두가 참여하는 다채로운 콘텐츠를 통해 골목 상권의 활력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상인 중심의 추진위원회 운영과 특화 콘텐츠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골목 브랜드를 구축하며 지역과 상권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골목이 카페다!'라는 슬로건은 과거 젊은이들의 문화 아지트이자 모임의 명소였던 그 시절의 카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골목 자체를 하나의 '카페'로 만들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카페골목'의 정체성을 되살려 지역 상권의 활력을 높이고, 세대와 세대를 잇는 소통과 교류의 장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표현했다.

죽변항 수산물축제

죽변항 수산물축제

2025-11-07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항길 150
054-789-5485~7

죽변항 수산물축제는 울진군 죽변항 일원에서 11월 7일부터 11월 9일까지 개최되는 지역 대표 축제이다. 울진의 신선한 수산물을 주제로 다양한 체험과 공연, 경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축제이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맨손 활어잡기, 수산물 해체쇼, 물회 퍼포먼스, 바다공방 체험 등이 있으며, 개막축하공연에는 이찬원과 황윤성이 출연한다. 축제 기간 동안 울진의 바다를 배경으로 한 어선 퍼레이드와 수산물 즉석경매가 진행되어 풍성한 볼거리와 먹거리를 제공한다. 또한 희망울진특별전, 울진군 화합의 거리, 울진바다거리 등 다양한 테마 부스가 운영되어 지역 수산물과 특산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본 축제는 지역 어민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지는 화합의 장으로, 울진 수산업의 우수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창원산단 문화축제

창원산단 문화축제

2025-11-06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외동반림로 9 (중앙동)
070-5117-3755

창원산단 문화축제’는 산업과 문화의 조화를 통해 창원산단 근로자와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지역 문화축제이다. 행사는 2025년 11월 8일(토)부터 9일(일)까지 창원스포츠파크 보조경기장과 문성대학교 일원에서 개최된다. 본 축제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산업단지 근로자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공동체의 문화적 소통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개막 퍼포먼스, 슈파크 콘서트, 창원산단의 변화를 담은 기억의 전시, 융복합 콘텐츠 부스 운영, 직장인 노래자랑, 체험 프로그램 등이 있다. 본 행사는 산업도시 창원의 정체성을 문화로 재해석하고 시민과 근로자가 함께 어울리는 복합문화축제이다.

양강섬예술축제

양강섬예술축제

2025-11-03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양평체육공원길 13
031-772-2622

양강섬예술축제는 양평을 대표하는 문화브랜드 축제로, 매년 양평의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서 다양한 문화예술 공연과 전시, 체험 프로그램이 펼쳐지는 축제이다. 이 축제는 양평이 지닌 공동체적 가치와 지역 예술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군민이 예술을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향유할 수 있도록 기획되고 있다. 또한 지역 예술인들의 창작 활동을 장려하고, 방문객에게는 예술과 자연이 어우러진 독특한 문화경험을 제공한다. 2025년에는 ‘국악’을 중심 주제로 삼아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시도하며, 예술성과 대중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부산중구반려동물축제

부산중구반려동물축제

2025-10-31

부산광역시 중구 용두산길 37-30 (광복동2가)
070-8893-2437

부산중구반려동물축제는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개최되는 반려동물 문화 행사다. 반려동물과 보호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산책 프로그램, 건강 상담, 행동 교육 등의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축제이다.반려동물의 책임 있는 양육 문화를 확산하고 지역 반려동물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의 행사이다. 또한 부산 중구 내 지역 주민과 중구를 방문한 관광객이 함께 참여하는 열린 축제이다.